마리오 푸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마리오 푸조는 이탈리아 이민자 출신으로, 《대부》를 집필한 미국의 소설가이자 시나리오 작가이다. 그는 제2차 세계 대전 참전 후 뉴욕 시립 대학교를 졸업했으며, 1969년 출간된 소설 《대부》로 베스트셀러 작가가 되었다. 이 소설은 영화화되어 아카데미 각색상을 수상하는 등 성공을 거두었으며, 《대부 2》, 《대부 3》의 각본에도 참여했다. 푸조는 1999년 심부전으로 사망했으며, 그의 작품은 대중문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골든 글로브 각본상 수상자 - 맷 데이먼
맷 데이먼은 《굿 윌 헌팅》으로 아카데미 각본상을 수상하고 배우로서 명성을 얻었으며, 다양한 영화 출연과 영화 제작, 자선 활동에도 참여하는 미국의 배우이자 영화 제작자 겸 각본가이다. - 골든 글로브 각본상 수상자 - 코언 형제
코언 형제는 독특한 유머와 스타일,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연출로 미국 독립 영화계를 대표하는 거장 영화 감독, 각본가, 제작자 형제이며, 각본, 연출, 제작, 편집까지 영화 제작 전 과정에 걸쳐 협업하고 특정 배우들을 자주 기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아카데미 각색상 수상자 - 코언 형제
코언 형제는 독특한 유머와 스타일, 다양한 장르를 넘나드는 연출로 미국 독립 영화계를 대표하는 거장 영화 감독, 각본가, 제작자 형제이며, 각본, 연출, 제작, 편집까지 영화 제작 전 과정에 걸쳐 협업하고 특정 배우들을 자주 기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아카데미 각색상 수상자 - 세라 폴리
세라 폴리는 캐나다 출신의 배우, 영화 감독, 작가, 사회 운동가이며, 배우 활동을 시작으로 연출과 각본 분야로 활동 범위를 넓혀 다양한 작품을 제작하고, 자서전 에세이집을 출간했다. - 미국의 SF 작가 - 아이작 아시모프
아이작 아시모프는 20세기 미국의 소설가이자 생화학자, 과학 대중화 저술가로, 로봇 공학 3원칙과 파운데이션 시리즈를 통해 SF 문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SF 작가 - 필립 K. 딕
필립 K. 딕은 현실과 환상의 경계, 정체성 혼란, 기술 발달과 인간 소외 등 철학적 주제를 다룬 미국의 유명한 과학 소설 작가로, 그의 작품은 영화로도 제작되어 대중적 인기를 얻었으며 사후에도 큰 영향을 주고 있다.
마리오 푸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본명 | 마리오 프랜시스 푸조 |
출생 | 1920년 10월 15일 |
출생지 | 맨해튼, 뉴욕 시, 미국 |
사망 | 1999년 7월 2일 |
사망지 | 웨스트 베이 쇼어, 뉴욕, 미국 |
직업 | 소설가 영화 각본가 저널리스트 |
활동 기간 | 1955년–1999년 |
장르 | 범죄 소설 |
주제 | 마피아 |
필명 | 마리오 클레리 |
대표 작품 | 《대부》(1969년) |
배우자 | 에리카 리나 브로스케 (1946년 결혼, 1978년 사망) |
파트너 | 캐럴 지노 |
자녀 | 5명 |
![]() | |
웹사이트 | 마리오 푸조 공식 웹사이트 |
발음 |
2. 생애
이탈리아 나폴리 출신 이민자 부모 사이에서 태어나 뉴욕 시 맨해튼의 헬스키친에서 자랐다.[2]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미국 육군 항공대 소속으로 독일 등지에서 복무했다.[18] 전쟁 후 작가 활동을 시작하여 1955년 첫 소설 《어두운 투기장》(The Dark Arena)을 출간했으나 큰 성공을 거두지는 못했다.[18]
이후 편집자의 제안으로 마피아를 소재로 한 소설 《대부》(The Godfather)를 집필하여 1969년 출간했다. 이 소설은 전 세계적인 베스트셀러가 되었고[12], 푸조에게 큰 명성을 안겨주었다. 그는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과 함께 동명의 영화 《대부》 시리즈의 각본을 공동 집필하여 아카데미 각색상을 두 차례 수상하는 등 시나리오 작가로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또한 영화 《슈퍼맨》(1978)의 원안과 각본을 쓰는 등 여러 영화 작업에 참여했다.
푸조는 1999년 7월 2일 뉴욕주 롱아일랜드의 자택에서 심부전으로 사망했다.[18] 그의 사후에도 《오메르타》와 《더 패밀리》 등의 유작이 출간되었다.
2. 1. 초기 생애 및 가족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이주한 이민자 부모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출생지는 뉴욕 시 맨해튼의 헬스키친이다. 아버지는 이탈리아 아벨리노현 피에트라데푸시 출신이었고, 어머니는 아리아노 이르피노 출신이었다.[2] 푸조가 12살 때, 뉴욕 센트럴 철도에서 선로 관리인으로 일하던 아버지는 조현병으로 인해 파일그림 주립 병원에 입원하게 되었다.[3] 이후 어머니 마리아는 일곱 자녀를 홀로 키웠다.[18]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미국 육군 항공대에 입대하여 독일에서 복무했으며,[18] 전쟁이 끝난 후에는 뉴욕 시립 대학교를 졸업했다.[18] 독일 여성 에리카 리나 브로스케와 결혼하여 다섯 자녀를 두었다.[4] 1978년, 아내 에리카가 57세의 나이로 유방암으로 사망한 후에는[18][4] 그녀의 간호사였던 캐롤 지노가 푸조의 동반자가 되었다.[18][4]
2. 2. 작가 경력
1950년, 푸조의 첫 단편 소설 "마지막 크리스마스"가 ''American Vanguard''에 실렸으며, 1953년 앤솔로지 ''New Voices: American Writing Today #1''에 다시 수록되었다.[5][6] 전쟁 후 첫 소설인 《어두운 투기장》(The Dark Arena)은 1955년에 출간되었으나,[18] 좋은 평가에도 불구하고 판매 실적은 저조했다.1960년대에는 브루스 제이 프리드먼의 제안으로 남성용 펄프 잡지 편집 보조로 일하며, '마리오 클레리'라는 필명으로 잡지 ''True Action'' 등에 제2차 세계 대전 모험담을 기고했다.[7][8] 1965년 발표한 단편 소설 "뮌헨으로 가는 여섯 개의 무덤"은 1967년 장편 소설로 확장되었고, 1982년에는 영화로도 만들어졌다.[9][10]
1969년에는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인 《대부》(The Godfather)가 출간되었다. 푸조는 편집자의 제안으로 이 소설을 쓰기 시작했으며, 개인적인 경험이 아닌 조직 범죄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대중적인 작품을 만들고자 했다고 밝혔다.[18][11] G. P. Putnam's Sons 출판사와 영화 제작 권리를 제외하고 48만달러의 인세 계약을 맺었다. 이 소설은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목록에 67주간 머물렀고, 2년 만에 9백만 부 이상 판매되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12]
이 소설은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에 의해 영화 《대부》(1972)로 만들어졌으며, 푸조는 코폴라와 함께 각본을 공동 집필했다. 파라마운트 픽처스는 1967년 푸조의 미완성 원고를 접하고 영화화 판권 확보를 위해 12500USD의 옵션을 제안했다. 당시 도박 빚 등으로 자금이 필요했던 푸조는 에이전트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 제안을 수락했다. 푸조는 이 영화로 아카데미 각색상을 수상하는 등 영화는 아카데미상 11개 부문 후보에 올라 3개 부문을 수상했다.
푸조와 코폴라는 속편인 《대부 2》(1974)와 《대부 3》(1990)에서도 협력했다. 그들은 3편의 제목으로 "마이클 콜레오네의 죽음"을 선호했으나 파라마운트가 받아들이지 않았다.[13] 2020년 9월, 영화 30주년을 기념하여 코폴라와 푸조가 원래 의도했던 버전에 가깝게 재편집한 《마리오 푸조의 대부, 코다: 마이클 콜레오네의 죽음》(Mario Puzo's The Godfather, Coda: The Death of Michael Corleone)이 공개되었다.[14][15]
푸조는 《대부》 시리즈 외에도 다른 영화 작업에도 참여했다. 1972년 중반, 1974년 재난 영화 《지진》(Earthquake)의 초고를 썼으나 《대부 2》 작업 때문에 완성하지는 못했지만, 스토리 크레딧은 유지했다. 또한 리처드 도너 감독의 1978년 영화 《슈퍼맨》(Superman)의 원안과 각본을 담당했는데, 여기에는 속편인 《슈퍼맨 2》의 줄거리도 포함되어 있었다. 1984년에는 코폴라 감독의 영화 《커튼 클럽》(The Cotton Club)의 스토리 작업에도 참여했다.
1991년에는 케네디 가문의 가상 인물이 미국 대통령이 되는 내용을 다룬 공상 과학 소설 《네 번째 K》(The Fourth K)를 출간했다.[16]
푸조는 1999년 7월 2일 뉴욕주 롱아일랜드 자택에서 급성 심근경색으로 세상을 떠났다. 이로 인해 《대부 4》 제작 계획은 무산되었다. 그의 마지막 소설인 《오메르타》(Omertà)와 《더 패밀리》(The Family)는 그가 사망하기 전에 원고가 완성되어 사후에 출간되었다. 다만, 《오메르타》에 대해서는 푸조와 함께 일했던 줄스 시겔이 다른 사람이 완성했을 가능성을 제기하며 비판하기도 했다.[17]
2. 3. 영화 각본 작업
마리오 푸조는 자신의 소설 대부가 영화화되면서 시나리오 작가로서도 큰 성공을 거두었다. 파라마운트 픽처스는 1967년, 푸조의 미완성 원고를 검토한 후 영화화 가능성을 보고 계약을 제안했다. 당시 파라마운트의 제작 부사장 피터 바트는 이 이야기가 단순한 마피아 이야기를 넘어선다고 판단했고, 푸조에게 완성 시 영화화를 조건으로 12500USD의 옵션과 추가 80000USD를 제안했다. 푸조의 에이전트는 반대했지만, 당시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던 푸조는 이 제안을 수락했다. 파라마운트의 로버트 에반스는 1968년 푸조가 도박 빚 10000USD 때문에 긴급 자금이 필요하다고 털어놓자, 60페이지 분량의 원고에 대해 12500USD의 계약을 제안했다고 회고하기도 했다.소설 《대부》는 1969년 출간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고[18][11], 뉴욕 타임스 베스트셀러 목록에 67주간 오르며 2년 만에 9백만 부 이상 판매되었다.[12] 이 소설은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에 의해 영화 《대부》(1972)로 만들어졌다. 푸조는 코폴라 감독과 함께 직접 각본 작업에 참여했으며, 이 영화로 아카데미상 최우수 각색상을 수상했다. 이후 코폴라 감독과 함께 속편인 《대부 2》(1974)와 《대부 3》(1990)의 각본도 공동으로 집필했다. 특히 《대부 3》의 경우, 푸조와 코폴라는 원래 '마이클 콜레오네의 죽음'이라는 제목을 원했으나, 파라마운트 픽처스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13] 2020년 9월, 영화 개봉 30주년을 맞아 코폴라 감독은 푸조와 원래 의도했던 버전에 가깝게 재편집한 《마리오 푸조의 대부, 코다: 마이클 콜레오네의 죽음》을 공개했다.[14][15]
푸조는 《대부》 시리즈 외에도 여러 영화의 각본 작업에 참여했다. 1972년에는 재난 영화 《지진》(Earthquake, 1974)의 초고를 썼으나, 《대부 2》 작업 일정 때문에 중도 하차했다. 하지만 초고의 많은 부분이 최종 영화에 반영되어, 푸조는 소송을 통해 스토리 크레딧을 인정받았고 영화 홍보에도 그의 이름이 비중 있게 사용되었다.
또한, 리처드 도너 감독의 영화 《슈퍼맨》(1978)의 원안과 각본을 담당했다. 푸조가 작성한 시나리오는 원래 《슈퍼맨 2》(1980)의 내용까지 포함하는 방대한 분량이었다. 이 때문에 나중에 공개된 《슈퍼맨 2: 리처드 도너 컷》(2006)에도 푸조의 이름이 원안 및 각본가로 크레딧되었다.
그 외에도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과 다시 협력하여 《코튼 클럽》(The Cotton Club, 1984)의 원안 작업에 참여했으며, 《콜럼버스》(Christopher Columbus: The Discovery, 1992)의 원안과 각본을 쓰기도 했다.
다음은 마리오 푸조가 참여한 주요 영화 각본 목록이다.
영화 제목 | 개봉 연도 | 역할 |
---|---|---|
대부 (The Godfather) | 1972 | 원작, 각본 |
대지진 (Earthquake) | 1974 | 각본 (초고, 스토리 크레딧) |
대부 2 (The Godfather Part II) | 1974 | 각본 |
슈퍼맨 (Superman) | 1978 | 원안, 각본 |
슈퍼맨 2 (Superman II) | 1980 | 원안, 각본 |
코튼 클럽 (The Cotton Club) | 1984 | 원안 |
대부 3 (The Godfather Part III) | 1990 | 각본 |
콜럼버스 (Christopher Columbus: The Discovery) | 1992 | 원안, 각본 |
슈퍼맨 2: 리처드 도너 컷 (Superman II: The Richard Donner Cut) | 2006 | 원안, 각본 (사후) |
2. 4. 사망
푸조는 1999년 7월 2일, 뉴욕주 롱아일랜드의 웨스트 베이 쇼어 자택에서 심부전으로 78세의 나이로 사망했다.[18] 그의 갑작스러운 사망으로 인해 영화 《대부 4》의 제작은 무산되었다.3. 작품 목록
마리오 푸조는 소설가이자 시나리오 작가로서 다수의 작품을 남겼다. 그의 가장 유명한 작품은 대부 시리즈이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장르의 소설, 논픽션, 단편 소설, 그리고 영화 각본을 발표했다. 주요 소설과 영화 각본 목록 및 상세 내용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는 그의 논픽션과 단편 소설 목록을 소개한다.
'''논픽션'''
연도 | 제목 | 비고 |
---|---|---|
1965 | "스스로 시험해 보세요: 신경 쇠약으로 향하고 있습니까?" | 마리오 클레리 명의 |
1966 | "우리 해안을 공포에 떨게 하는 6백만 마리의 살상 상어" | 마리오 클레리 명의 |
1971 | "꿈을 선택하기: 지옥의 주방에 있는 이탈리아인들" | |
1972 | 대부 서류와 기타 고백 (The Godfather Papers and Other Confessions) | |
1977 | 라스베이거스 내부 (Inside Las Vegas) |
'''단편 소설'''
3. 1. 소설
1950년, 푸조의 첫 단편 소설 "마지막 크리스마스"가 ''American Vanguard''에 실렸고, 1953년 앤솔로지 ''New Voices: American Writing Today #1''에 다시 실렸다.[5][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을 배경으로 한 그의 첫 소설 ''어두운 투기장''(The Dark Arena)은 1955년에 출판되었다.[18]1960년대에는 '마리오 클레리'(Mario Cleri)라는 필명으로 남성용 펄프 잡지인 ''True Action'' 등에 제2차 세계 대전 관련 모험 이야기를 기고하기도 했다.[7][8] 1965년에는 이탈리아계 미국인 이민자들의 삶을 그린 소설 ''행복한 순례자''(The Fortunate Pilgrim)를 출판했고, 1966년에는 어린이 책 ''데이비 쇼의 도망간 여름''(The Runaway Summer of Davie Shaw)을 썼다. 1967년에는 단편으로 발표했던 "뮌헨으로 가는 여섯 개의 무덤"을 장편 소설 ''뮌헨으로 가는 여섯 개의 무덤''(Six Graves to Munich)으로 확장하여 출간했다.[9][10]
1969년, 푸조는 그의 가장 대표적인 작품인 ''대부''(The Godfather)를 발표했다. 푸조는 이 소설이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이 아니라 마피아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했으며, 많은 독자들에게 어필할 수 있는 이야기를 쓰고자 했다고 밝혔다.[18][11] ''대부''는 출간 즉시 큰 성공을 거두어 ''The New York Times'' 베스트셀러 목록에 67주 동안 머물렀고, 2년 만에 9백만 부 이상 판매되었다.[12]
소설의 성공은 영화화로 이어졌다. 파라마운트 픽처스는 1967년, 푸조의 60페이지 분량 미완성 원고를 접하고 영화화 가능성을 보았다. 당시 파라마운트 제작 부사장 피터 바트는 이 이야기가 단순한 마피아 이야기를 넘어선다고 판단했고, 푸조에게 원고 완성 시 영화화를 조건으로 선금 12500USD, 완성 시 추가 80000USD를 지급하는 옵션 계약을 제안했다. 푸조는 당시 금전적으로 어려운 상황이었기에 에이전트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 제안을 수락했다. 파라마운트 픽처스의 로버트 에반스는 푸조가 도박 빚으로 인해 10000USD가 급히 필요하다고 털어놓자, 60페이지 분량의 원고에 대해 12500USD의 계약을 제안했다고 회고했다.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이 연출한 영화 ''대부''(1972)는 큰 성공을 거두었고, 푸조는 이 영화로 아카데미 최우수 각색상을 수상했다.
푸조는 코폴라 감독과 함께 속편인 ''대부 2''(1974)와 ''대부 3''(1990)의 각본 작업에도 참여했다. 세 번째 영화의 제목으로 푸조와 코폴라는 "마이클 콜레오네의 죽음"을 선호했지만, 파라마운트 픽처스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13] 2020년, 영화 30주년을 기념하여 코폴라 감독은 ''마리오 푸조의 대부, 코다: 마이클 콜레오네의 죽음''이라는 제목으로 영화를 재편집하여 공개하며, 이것이 푸조와 자신이 원래 의도했던 버전이라고 밝혔다.[14][15]
''대부'' 이후에도 푸조는 꾸준히 소설을 발표했다. 1978년에는 라스베이거스를 배경으로 한 ''바보들은 죽는다''(Fools Die)를, 1984년에는 ''대부''의 등장인물 마이클 콜레오네와 관련된 이야기를 다룬 ''시실리안''(The Sicilian)을 출간했다. 1990년에는 케네디 가문의 가상 인물이 미국 대통령이 되는 이야기를 그린 정치 스릴러 ''제4의 K''(The Fourth K)를 발표했다.[16] 1996년에는 현대 마피아 세계를 그린 ''마지막 거물''(The Last Don)을 출간했다.
푸조는 1999년 사망했으며, 그의 유작 소설 두 편이 사후에 출판되었다. 2000년에 출간된 ''오메르타''(Omertà)는 완성도에 대해 일부 비판적인 평가를 받기도 했다.[17] 2001년에는 보르자 가문을 소재로 한 역사 소설 ''더 패밀리''(The Family)가 출간되었는데, 이 작품은 푸조가 완성하지 못한 부분을 그의 오랜 동반자였던 캐롤 지노(Carol Gino)가 마무리했다.
=== 주요 소설 목록 ===
- ''어두운 투기장'' (The Dark Arena, 1955)
- ''행복한 순례자'' (The Fortunate Pilgrim, 1965)
- ''데이비 쇼의 도망간 여름'' (The Runaway Summer of Davie Shaw, 1966) - 어린이 책
- ''뮌헨으로 가는 여섯 개의 무덤'' (Six Graves to Munich, 1967) - '마리오 클레리' 명의
- ''대부'' (The Godfather, 1969)
- ''바보들은 죽는다'' (Fools Die, 1978)
- ''시실리안'' (The Sicilian, 1984) - ''대부''의 외전격 소설
- ''제4의 K'' (The Fourth K, 1990)
- ''마지막 거물'' (The Last Don, 1996)
- ''오메르타'' (Omertà, 2000) - 사후 출판
- ''더 패밀리'' (The Family, 2001) - 사후 출판, 캐롤 지노 완성
3. 2. 영화 각본
푸조의 가장 유명한 소설인 대부는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에 의해 영화 《대부》(1972)로 만들어졌다. 파라마운트 픽처스는 1967년 푸조의 미완성 원고를 접하고 영화화 판권 계약을 제안했다. 당시 푸조는 재정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어 에이전트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계약을 수락했다.[18][11] 파라마운트 픽처스의 로버트 에반스는 푸조가 도박 빚 때문에 급히 돈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고 계약을 제안했다고 회고하기도 했다. 푸조는 이 영화의 각본 작업에 참여하여 아카데미 최우수 각색상을 수상했다.이후 푸조는 코폴라와 함께 속편인 《대부 2》(1974)와 《대부 3》(1990)의 각본을 공동으로 집필했다. 특히 《대부 3》의 경우, 코폴라와 푸조는 '마이클 콜레오네의 죽음'이라는 제목을 선호했으나 파라마운트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13] 2020년에는 영화 30주년을 기념하여 코폴라와 푸조가 원래 의도했던 버전에 가깝게 재편집한 《마리오 푸조의 대부, 코다: 마이클 콜레오네의 죽음》(Mario Puzo's The Godfather, Coda: The Death of Michael Corleone)이 공개되었다.[14][15]
푸조는 다른 영화들의 각본 작업에도 참여했다. 1972년에는 재난 영화 《지진》(Earthquake, 1974)의 초고를 썼으나, 《대부 2》 작업 때문에 중도 하차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초고 내용 상당 부분이 최종 영화에 반영되어 크레딧에 이름을 올렸다. 또한 리처드 도너 감독의 영화 《슈퍼맨》(Superman, 1978)과 그 속편 《슈퍼맨 2》(Superman II, 1980)의 원안과 각본을 썼는데, 원래 두 편의 내용을 하나의 시나리오로 구상했었다. 이 외에도 《죽음의 시간》(A Time to Die, 1982)과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의 《코튼 클럽》(The Cotton Club, 1984)의 원안 작업에 참여했으며,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대항해》(Christopher Columbus: The Discovery, 1992)의 원안과 각본을 쓰기도 했다.
사후에는 그의 기존 각본을 바탕으로 한 영화들이 공개되기도 했다. 2006년에는 리처드 도너 감독이 원래 의도했던 버전으로 재편집한 《슈퍼맨 2: 리처드 도너 컷》(Superman II: The Richard Donner Cut)이 나왔고, 2020년에는 앞서 언급된 《대부, 코다: 마이클 콜레오네의 죽음》이 공개되었다.
다음은 마리오 푸조가 참여한 영화 각본 목록이다.
제목 | 연도 | 역할 |
---|---|---|
대부 | 1972 | 원작, 각본 |
지진 | 1974 | 각본 (초안) |
대부 2 | 1974 | 각본 |
슈퍼맨 | 1978 | 원안, 각본 |
슈퍼맨 2 | 1980 | 원안, 각본 |
죽음의 시간 | 1982 | 원안 |
코튼 클럽 | 1984 | 원안 |
대부 3 | 1990 | 각본 |
크리스토퍼 콜럼버스: 대항해 | 1992 | 원안, 각본 |
슈퍼맨 2: 리처드 도너 컷 | 2006 | 원안, 각본 |
대부, 코다: 마이클 콜레오네의 죽음 | 2020 | 각본 (기존 작업 기반) |
3. 3. 기타
다음은 마리오 푸조가 쓴 주요 작품 목록이다.연도 | 제목 | 비고 |
---|---|---|
1955 | The Dark Arena | |
1965 | The Fortunate Pilgrim | |
1966 | The Runaway Summer of Davie Shaw | 어린이 책 |
1969 | 대부 (The Godfather) | |
1978 | 바보들 죽다 (Fools Die) | |
1984 | The Sicilian | |
1990 | 네 번째 K (The Fourth K) | |
1996 | 마지막 대부 (The Last Don) | |
2000 | 오메르타 (Omertà) | 사후 출판 |
2001 | 패밀리 (The Family) | 사후 출판 |
1950년, 푸조의 첫 단편 소설 "마지막 크리스마스"가 ''American Vanguard''에 게재되었고, 1953년 앤솔로지 ''New Voices: American Writing Today #1''에 다시 실렸다.[5][6]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첫 번째 책인 소설 ''어두운 투기장''(The Dark Arena)을 1955년에 출판했다.[18]
1960년, 브루스 제이 프리드먼은 푸조를 ''Male'', ''Men''과 같은 남성용 펄프 잡지의 편집 보조로 고용했다. 푸조는 '마리오 클레리'라는 필명으로 잡지 ''True Action''에 제2차 세계 대전 관련 모험 기사를 쓰기도 했다.[7][8] 1965년 11월에 발표한 단편 소설 "뮌헨으로 가는 여섯 개의 무덤"은 1967년 10월 장편 소설로 확장되었고, 1982년에는 영화로 각색되었다.[9][10]
1969년에는 푸조의 가장 유명한 작품인 ''대부''(The Godfather)가 출판되었다. 푸조는 이 이야기가 개인적인 경험이 아닌 조직 범죄에 대한 조사를 바탕으로 했으며, 대중에게 널리 어필할 수 있는 작품을 쓰려고 했다고 밝혔다.[18][11] 이 소설은 ''The New York Times'' 베스트셀러 목록에 67주 동안 머물렀고, 2년 만에 9백만 부 이상 판매되는 큰 성공을 거두었다.[12] 이 책은 이후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의 영화 ''대부''(1972)로 제작되었다. 파라마운트 픽처스는 1967년, 푸조의 미완성 60페이지 원고를 접하고 영화화 가능성을 보았다. 당시 파라마운트 제작 부사장이었던 피터 바트는 이 작품이 단순한 마피아 이야기를 넘어선다고 판단하여, 푸조에게 완성 시 영화화를 조건으로 12500USD의 옵션과 추가로 8만달러를 제안했다. 푸조는 당시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었기에 에이전트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 제안을 수락했다. 파라마운트 픽처스의 로버트 에반스는 1968년 초 푸조를 만났을 때, 그가 도박 빚 1만달러가 급히 필요하다고 털어놓자 60페이지 원고에 대해 12500USD의 계약을 제안했다고 회고했다. 영화 《대부》는 오스카 11개 부문 후보에 올라 3개 부문에서 수상했으며, 푸조는 최우수 각색상을 수상했다.
푸조는 코폴라와 함께 속편인 ''대부 2''(1974)와 ''대부 3''(1990)의 각본도 공동 작업했다. 코폴라와 푸조는 세 번째 영화의 제목을 "마이클 콜레오네의 죽음"으로 하고 싶어 했으나, 파라마운트 픽처스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다.[13] 2020년 9월, 영화 30주년을 기념하여 ''마리오 푸조의 대부, 코다: 마이클 콜레오네의 죽음''(Mario Puzo's The Godfather, Coda: The Death of Michael Corleoneeng)이라는 제목의 새로운 편집본이 발표되었다. 이 버전은 2020년 12월 한정 개봉 후 디지털 및 블루레이로 출시되었다.[14] 코폴라는 이 편집본이 자신과 푸조가 원래 의도했던 버전이며, 삼부작의 위상을 제대로 보여준다고 평가했다.[15]
1972년 중반, 푸조는 1974년 재난 영화 ''지진''(Earthquake)의 초고를 썼으나, ''대부 2'' 작업 때문에 계속 참여하지 못했다. 이후 조지 폭스와 감독 마크 롭슨이 시나리오를 완성했다. 푸조는 소송을 통해 스토리 크레딧을 인정받아 완성된 영화 크레딧에 이름을 올렸고, 그의 이름은 영화 홍보에도 활용되었다. 또한 리처드 도너 감독의 ''슈퍼맨''(1978)의 원 시나리오를 썼는데, 이 시나리오는 원래 한 편의 영화로 기획되었기 때문에 ''슈퍼맨 2''(1980)의 줄거리까지 포함하고 있었다. 그는 1982년 영화 ''죽음의 시간''과 1984년 프랜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의 영화 ''면 클럽''(The Cotton Club)의 스토리 작업에도 참여했다.
1991년에는 푸조의 공상 과학 소설 ''네 번째 K''(The Fourth K)가 출판되었다. 이 소설은 2000년대 초 미국 대통령이 되는 가상의 케네디 가문 인물을 다룬다.[16]
푸조는 그의 마지막에서 두 번째 소설인 ''오메르타''(Omertà)의 출판을 보지 못하고 사망했지만, 원고는 그의 사망 전에 완성되었다. 마찬가지로 ''더 패밀리''(The Family)의 원고도 완성된 상태였다. 그러나 과거 푸조와 함께 일했던 줄스 시겔은 ''샌프란시스코 크로니클''에 기고한 서평에서 ''오메르타''가 재능 없는 다른 작가에 의해 마무리되었을 수 있다고 추측하며 비판적인 시각을 드러내기도 했다.[17]
4. 수상 내역
마리오 푸조는 영화 각본가로서 뛰어난 성과를 인정받아 여러 상을 수상했다. 특히 대부 시리즈의 각본으로 아카데미 각색상과 골든 글로브상 각본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4. 1. 아카데미상
4. 2. 골든 글로브상
5. 대중문화에 미친 영향
2022년 4월, 파라마운트+는 드라마 오퍼를 공개했다. 이 작품은 푸조가 대부 소설을 쓰기로 결심한 과정과 영화 대부의 제작 과정을 다루고 있다. 배우 패트릭 갤로가 마리오 푸조 역을, 빅토리아 켈러허가 그의 아내 에리카 역을 연기했다.
참조
[1]
서적
Popular Contemporary Writers
https://books.google[...]
Marshall Cavendish
2006
[2]
뉴스
Mario Puzo: The author of the Godfather, the book the Mafia loved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9-08-10
[3]
웹사이트
Mario Puzo at 100
https://www.independ[...]
2020-10-15
[4]
웹사이트
It All Comes Back To Family
https://www.nytimes.[...]
1997-05-08
[5]
서적
American Vanguard 1950
Cambridge Publishing, New York
1951
[6]
서적
New Voices: American Writing Today #1
Perma Books, New York
1953
[7]
웹사이트
Two new exhibits at the Heckscher Museum of Art
https://theislandnow[...]
theislandnow.com
2019-08-12
[8]
뉴스
A Demimonde in Twilight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09-03-15
[9]
간행물
Six Graves to Munich
1965-11
[10]
서적
Six Graves to Munich
New American Library, New York
2010
[11]
Youtube
Mario Puzo Interview transcript
http://www.mariopuzo[...]
MarioPuzo.com
2014-09-02
[12]
웹사이트
"The Godfather" Turns 40
http://www.cbsnews.c[...]
CBS Interactive Inc.
2014-07-15
[13]
웹사이트
'The Godfather: Part III' makes a little more sense in the streaming era
https://datebook.sfc[...]
sfchronicle.com
2019-12-28
[14]
웹사이트
Adam Beach's 'Monkey Beach' to Open Hybrid Vancouver Film Fest
https://www.hollywoo[...]
hollywoodreporter.com
2020-09-03
[15]
웹사이트
Francis Ford Coppola Says 'Godfather: Part III' Recut Vindicates Film, Daughter Sofia
https://www.hollywoo[...]
The Hollywood Reporter
2020-12-03
[16]
문서
Mario Puzo
[17]
뉴스
The computer wrote it
http://cafecancun.co[...]
2015-02-10
[18]
웹사이트
Mario Puzo, Author Who Made 'The Godfather' a World Addiction, Is Dead at 78
https://www.nytimes.[...]
1999-07-03
[19]
웹사이트
"The Flight Attendant" Victoria Kelleher On Working With Kaley Cuoco And "The Offer" – New Scene Magazine
https://newscenemaga[...]
2022-06-01
[20]
웹사이트
The Official Mario Puzo Library・Biography
http://www.mariopuzo[...]
[21]
서적
オメルタ: 沈黙の掟
早川書房
2000
[22]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